초보자를 위한 엑셀 사칙 연산 및 인쇄 방법 배우기

2023. 8. 25. 15:36엑셀

728x90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 엑셀 기초에 관한 내용을 엑셀 기초 배우기 1편, 2편에 걸쳐 기술했습니다.

해당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편: 엑셀 기초 및 메뉴 구성

2편: 엑셀 기본 수식 및 옵션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의 가장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는 사칙 연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사칙 연산

아래의 표는 우리가 일상에서 접해왔던 사칙 연산에 대한 예시를 나타냅니다.


번호 산술 연산자 첫 번째 숫자 두 번째 숫자 결과
1 덧셈 (+) 12 4 16
2 뺄셈 (-) 18 16 2
3 곱셈 (*) 4 9 36
4 나눗셈 (/) 30 4 7.5

이제 위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엑셀을 활용해보겠습니다.


Step 1) 엑셀 통합문서를 생성하고 데이터 입력하기

엑셀을 실행시킵니다.

저는 엑셀 2023 버전을 사용하고 있으나 사칙 연산에 대해서는 그 하위 혹은 앞으로의 상위 버전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으니 어떤 엑셀 버전을 사용하더라도 그대로 따라서 하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표와 동일하게 엑셀에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이제 각각의 산술 연산자를 통해서 계산하겠습니다.

엑셀에서 계산을 할 경우 항상 등호 (=)로 시작해야 합니다.

덧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12 + 4를 위해서는 아래의 수식을 엑셀의 결과 열에 입력합니다.

=C2+D2

이후 엔터 키를 입력하면 16의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예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뺄셈, 곱셈, 나눗셈을 하는 수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뺄셈: =C3-D3

곱셈: =C4*D4

나눗셈: =C5/D5



위의 표와 동일하게 입력하셨다면 아래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Step 2) 엑셀 데이터 포맷 변경하기

엑셀이 결과만 도출하는 프로그램이었다면 지금처럼 전 세계인이 엑셀을 사용할 지는 미지수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엑셀을 통해서 우리는 데이터 포맷을 쉽고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과를 더욱 강조할 수도 있습니다.

다시 Step 1에서 수행한 산술 연산자로 돌아가보죠.

우리는 표에서 행의 이름들을 아래의 조건을 통해 바꾸어 보겠습니다.

  • 행의 이름 굵은 글씨체
  • 번호 좌측 정렬
  • 테두리 만들기

Step 3) 행의 이름 굵은 글씨체로 변경하기

행 이름을 드래그하여 선택합니다.

*좌클릭한 상태로 마우스를 시작 지점 (번호)에서 끝 지점 (결과)로 움직이기

리본 바의 "굵게" 버튼 클릭하기

따라오셨다면 여러분의 워크시트는 아래의 그림과 같을 것입니다.



Step 4) 번호 좌측 정렬

다음은 A열의 번호를 좌측 정렬하겠습니다.

먼저 번호 열의 모든 데이터를 선택합니다.

이후 아래 그림과 같이 왼쪽 맞춤 버튼을 클릭하여 좌측 정렬합니다.



이후 아래 그림과 같이 리본 바에서 테두리 명령에 대한 화살표를 클릭합니다.



다양한 명령 중 모든 테두리를 클릭합니다.



이제 우리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굵은 글자체의 행 이름좌측 정렬된 번호, 그리고 테두리를 가진 데이터 셀을 만들었습니다.



인쇄 영역 지정 및 미리보기

우리의 결과를 바로 출력하기 전에 어떤 형식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것은 한 번에 일을 끝내기 위해서 중요할 수 있습니다.

지난 "초보자를 위한 엑셀 기초 배우기 2편"에서 다뤘던 유용한 단축키 중 하나인 Ctrl + P (인쇄)를 눌러보면 아래와 같이 실행됩니다.



이 화면에서 인쇄 버튼페이지 미리보기, 페이지 레이아웃복사본 수 등 다양한 설정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뒤로 가기 혹은 Esc 버튼을 클릭하여 미리보기 화면에서 돌아오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여러분은 엑셀을 활용한 사칙 연산 방법과 데이터 포맷 변경, 인쇄 방법에 대해서 알게되었기를 바라며 다음 포스팅에서 계속 진행하겠습니다.

반응형